정년: 노동자나 기업 의사와 상관없이 근로자가 퇴직을 맞는 한계 연령이다. 기업의 활발한 신진대사 및 체질 개선을 꾀하기 위함이다. 근로자의 재직연령을 보장하는 의미도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 60세를 법적 정년으로 정했다.
현재 정년이 잘 지켜지는 직장은 노조가 강한 대기업이나 공기업 등 일부다. 정년제를 실시하는 기업의 정년도 55~58세로 법적 권고 연령보다 낮다. 명예퇴직을 권고받는 등 정년을 채우는 경우도 드물다. 고령자의 안정된 삶과 고용촉진을 이유로 정년 연장은 꾸준히 논의됐다.
지난 2월10일 정부가 추진 계획을 밝힌 고령자 계속고용제가 사실상 정년 연장 기능을 하리란 기대에 주목받는다. 기획재정부가 ‘제4기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 주요 분야’ 중 하나로 거론하며 사회적 논의를 추진하기로 했다.
고령자 계속고용제: 정년 이후에도 일정 연령까지 고용연장 의무를 두는 제도다. 고용연장 형태는 정년 연장, 정년 폐지, 재고용 중 기업이 고를 수 있다. 직접적으로 정년을 건드리진 않는다. 정년제도에서는 정년이 차지 않은 근로자를 연령을 이유로 해고하면 법 위반에 해당하지만, 계속고용제는 재취업, 계약직 전환 등을 통해 고령자의 고용을 연장하는 방식이다.
인구절벽: TF 이름이 나타내듯 정부가 고령자 계속고용제를 추진하는 건 인구정책 관점에서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는 ‘데드크로스’가 발생하고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는 우리나라는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다. 고령 인력을 활용해 생산가능인구를 확충하고 고령사회에 대비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민연금과 소득공백: 정년과 국민연금 수령 연령 사이 공백이 있다. 60세 정년을 맞이하더라도 현재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만 62세다. 다음 해부터 63세로 올라가며, 2033년에는 65세가 돼야 받는다. 고용이 연장되지 않으면 고령층 소득공백이 매우 길어진다. 사회가 질 부담도 커진다.
통계청
한겨레
정년 연장 논의 왜 필요한가…“부담 나눠 짊어지는 게 미래 이익”
MBC뉴스
중앙일보
매일경제
문화일보
‘정년 65세’땐 기업 15.9兆 추가 부담… 4대 연금 운용에도 큰 영향
서울경제
文 정부 5년 만에 더 빨라진 인구 충격... 2025년 합계출산률 0.52명 시대 온다
연합뉴스
데일리안
정부 '고령자 계속고용제' 추진…청년들"우리 일자리는요?"
이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