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1
조선의 개항 및 근대화 운동
1. 조선의 개항
- 배경 :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병인양요, 신미양요)
- 전개 : 일본의 운요호 사건 → 개항을 강요 받음
- 결과 : 강화도 조약 체결 → 부산, 원산, 인천 3개 항구 개항, 영사 재판권, 해안 측량권, 미국을 비롯한 서양 열강과 불평등 조약 체결
2. 근대화 운동
- 개화 정책 추진 : 통리기무아문(개화 담당 기구) 설치, 별기군(신식 군대), 일본과 청, 미국에 각각 사절단 파견(일본에는 수신사와 조사 시찰단, 청에는 영선사, 미국에는 보빙사 파견)
- 위정척사 운동: 성리학 전통의 수호와 반외세를 주장하며 개화 정책 을 반대함
- 임오군란(1882) : 정부의 개화 정책에 대한 불만으로 구식 군인과 도시 빈민층 참여, 청의 진압 → 청이 내정 간섭을 하고, 개화파는 온건 개화파와 급진 개화파로 분열됨
- 갑신정변(1884) : 급진 개화파가 일으킨 것 →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급진적 개혁, 근대 국민 국가 건설, 인민 평등권과 조세 개혁 등 주장 → 청의 개입으로 실패, 이후 청과 일본의 내정 간섭 심화
- 동학 농민 운동(1894) : 농민들의 반외세·반봉건 운동 → 신분제 폐지, 토지 개혁 → 관군 및 일본군에 의해 진압됨, 일본의 내정 간섭과 개혁
- 갑오·을미개혁(1894~1895) : 신분제 폐지, 과부 재가 허용 ,왕실과 국가 재정 분리(갑오개혁) → 을미사변(1895) → 단발령(을미개혁) → 아관파천으로 개혁 중단
대한제국 시기의 근대화 운동
1. 독립 협회(1896)
- 주도 : 서재필 등 개화 지식인과 개혁 관료
- 활동 : 만민 공동회의 자주 국권 운동(아관파천 이후 러시아 이권 침탈), 관민 공동회의 의회 개설 운동, 헌의 6조 → 보수파의 모함, 고종의 명령으로 해산
2. 대한제국 수립(1897)
- 배경 : 고종의 환궁, 대한제국 수립(1897), 고종 황제로 즉위하고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로 함
- 활동 : 대한국 국제 반포(자주독립국, 전제군주 국가임을 명시), 광무 개혁(군사제도 개편, 상공업 진흥, 근대적 교육 시설 확립)
국권 침탈과 국권 수호 운동
1. 의병 운동
- 배경 : 러일전쟁 이후 을사늑약(1905) 체결로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과 통감부 설치, 러일전쟁 중 일본은 독도를 불법으로 편입
- 을미의병(을미사변) → 을사의병(을사늑약) → 정미의병(대한제국 군대해산) → 일본의 탄압으로 만주 및 연해주로 이동해 독립군 활동
2. 애국 계몽 운동
- 시기 : 을사늑약(1905) 체결 전후
- 내용 : 개화 사상과 독립 협회 활동을 계승, 지식인과 관료층이 지휘함, 교육과 산업 등의 분야에서 실력을 키워 국권을 회복할 것 주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