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2
삼국과 가야의 성장 과정
1️. 고구려의 성장
- 1세기 초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도읍을 옮겼으며, 이후 평야 지대로의 진출을 추진함
- 태조왕(1세기 후반) : 옥저 정복, 현도군 공격을 통해 요동 진출을 시도함
- 고국천왕(2세기 후반) : 5부를 행정 구역으로 바꾸었으며, 기존 5부의 지배자였던 군장들을 중앙 귀족으로 편입 / 을파소를 국상으로 임명 / 빈민 구제를 위한 진대법 시행
- 미천왕(4세기 초) : 낙랑군과 대방군을 점령 -> 중국 군현 세력을 몰아내며 확장
- 그러나, 4세기 중반 전연의 침입으로 수도 함락, 백제군과의 전쟁에서 고국원왕 전사
- 소수림왕(4세기 후반) : 불교 수용, 태학 설립, 율령 반포 통해 통치 조직 및 체제 정비
- 개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고구려는 중앙 집권 체제를 더욱 강화했음.
2. 백제의 성장
- 부여와 고구려 계통의 유이민 세력이 남하, 토착 세력과 결합하여 위례성을 도읍 삼아 건국(기원전 18)
- 농경에 유리한 한강 유역, 해상 교통의 편의성 -> 선진 문물 수용에 유리
- 고이왕(3세기 중엽) : 6좌평을 두고 관등제의 기초를 다지는 등 국가 조직 정비 -> 중앙 집권 체제 기틀 마련 / 마한의 중심인 목지국을 병합해 한반도 중부 지역 확보
- 근초고왕(4세기 중후반) :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해 대동강 이남의 황해도 일부 차지, 마한의 잔여 세력을 눌러 남해안까지 확장 -> 해상 교역망 장악 및 고구려 견제, 백제의 전성기
- 침류왕(4세기 후반) : 중국의 동진에서 불교 수용 -> 중앙 집권 체제를 사상적으로 뒷받침, 문화 발전
3️. 신라의 성장
- 진한의 한 소국인 사로국에서 시작, 경주 일대를 연합하여 건국(기원전 57)
- 초기에 왕권이 확립되지 못해 박, 석씨, 김씨의 3성이 돌아가며 왕위(당시 이사금)에 올랐음
- 한반도 동남쪽에 위치해 중국의 문물을 수용하기 어려움 -> 고구려, 백제에 비해 발전이 늦었음
- 내물왕(4세기 후반) : 김씨의 왕위 독점, 왕의 칭호를 마립간으로 변경
- 이후 5세기 들어 고구려의 간섭을 받았으며, 눌지왕 때 백제와의 동맹을 통해 간섭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함
4️. 가야와 금관가야의 발전
- 낙동강 유역 및 남해안 부근 변한 지역에 여러 가야가 세워져 연맹 형성, 발전
- 분지나 해안가에 위치해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지 못함
- 초기 연맹을 주도한 금관가야(김해)는 풍부한 철 생산, 낙동항 하류에서 낙랑과 왜, 마한을 잇는 해상 교역 활발 -> 다양한 문화 수용
- 4세기 이후 신라와의 경쟁 당시 백제, 왜와의 관계 강화 시도
- 5세기 신라를 지원한 고구려의 공격 등으로 세력이 점차 약화, 가야 연맹의 결속력 또한 약화 -> 이후 연맹의 주도권은 고령의 대가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