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2
고려의 통치 체제 정비
1️. 중앙 정치
- 성종 때 당의 3성 6부제 기반으로 중앙 정치 제도 정비, 2성 6부 운영
- 2성 : 중서문하성(국가 정책 심의, 문하시중이 국정 총괄) / 상서성(6부를 두고 정책 집행)
- 중추원 : 왕명 전달, 군사 기밀 관리, 궁궐 숙위 -> 국왕의 비서 기관
- 어사대 : 관리 비리 감찰, 풍기 단속
- 삼사 : 국가 재정 출납, 회계 관리
- 도병마사, 식목도감 : 중서문하성과 중추원 고위 관료들로 구성 -> 도병마사는 국방과 군사 문제 협의, 식목도감에서는 제도와 시행 규칙 제정
2. 지방 행정
- 건국 초기 각 지역 호족이 자체적으로 관리 -> 성종 때 12목 설치, 지방관 파견
- 전국을 경기(수도 개경 주변)와 5도(일반 행정 구역), 양계(군사 행정 구역)로 지방 제도 정비
- 5도와 양계 아래의 군과 현은 지방관이 파견된 주현과 지방관이 없는 속현으로 구분, 행정 실무는 향리 담당
- 특수 행정 구역 : 향·부곡·소 -> 주로 농업이나 수공업에 종사, 군현 지역에 사는 이들보다 세금을 많이 내는 등 차별 대우
3️. 군사
- 중앙군(2군 6위) + 지방군(주현군, 주진군)
- 중앙군 : 2군 -> 왕실 및 궁궐 호위 / 6위 -> 개경과 국경 방어
- 지방군 : 주현군 -> 5도의 군사 및 치안 / 주진군 -> 양계의 국경 경비
4️. 교육
- 건국 초기부터 교육 강조 -> 태조 때 개경과 서경에 학교 건립
- 성종 때 개경에 최고 국립 교육 기관 '국자감' 설치 / 지방에서는 향교를 통해 유학 교육 장려, 사학 12도 등의 사립 교육 기관 유행
5. 관리 등용
- 과거제 : 양인 이상을 대상으로 시험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제도
- 과거제의 종류 : 문관(제술과 -> 문학적 재능, 명경과 -> 유교 경전 이해), 기술관(잡과 -> 법률, 회계, 의학, 지리 등), 승계 부여(승과) / 무예가 뛰어난 사람을 무관으로 임명
- 음서제 : 왕족과 공신의 후손, 5품 이상 고위 관료 자손을 대상으로 시험 없이 관료로 임명하는 제도 -> 지위 세습 수단으로 활용
- 음서제에 비해 과거 급제자의 능력을 더 인정
- 모든 관리 대상으로 전시과 혜택 제공, 녹봉 지급 -> 관리 사망 이후에는 국가에 토지 반납의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