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질서의 동요, 무신 정권의 성립

1️. 문벌의 형성

  • 문벌의 형성 : 고려 전기~중기에 걸쳐 중앙 정계에 진출, 여러 세대에 걸쳐 고위 관직을 배출한 가문인 문벌 형성 -> 과거와 음서를 통해 지위 확보, 혼인제도를 통해 세력 확대
  • 대표 문벌인 경원(인주) 이씨 가문 내 이자겸의 권위 확대 -> 인종이 이자겸 제거 시도 -> 이자겸의 반격(이자겸의 난, 1126), 이후 진압
  • 혼란 속에서 인종이 정지상, 묘청 등 서경 출신 인물 등용 -> 서경 출신 세력의 서경 천도, 독자 연호 사용 건의 -> 김부식 등의 비판, 서경 천도 주창의 설득력 약화 -> 묘청 등 서경에서 반란(묘청의 난, 1135),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진압
  • 이후 김부식 등 문벌 출신 관리의 정치 주도

2. 무신 정변

  • 이자겸의 난, 서경 천도 운동 및 묘청의 난 -> 고려 정치 혼란, 왕권 약화
  • 아울러, 문벌의 권력 독점과 부패, 무신을 향한 일부 문신의 노골적 무시 -> 무신들의 불만 고조 -> 이의방 등 무신들 정변 주도, 의종 폐위, 정권 장악(무신 정변, 1170)
  • 무신 정변 이후 국가 중대사는 무신의회 기구인 중방에서 처리

3️. 최씨무신 정권

  • 정변 초기까지 권력 다툼으로 집권자가 자주 교체 -> 이의민의 뒤를 이은 최충헌 집권과 함께 안정
  • 최충헌 : 교정도감 설치 -> 국가 중대사 결정 / 사병 집단인 도방을 조직  -> 권력 유지 및 신변 보호
  • 최우 : 정방 설치 -> 관리 인사권 장악 / 서방 설치 -> 정책 자문 / 삼별초 조직 -> 도방과 함께 정권을 보호하는 군사적 기반 마련
  • 이후 4대 60여 년간 지속 (최충헌-최우-최항-최의)
  • 의의 : 문신 정치적 영향력 점차 확대, 정치적 안정, 국방력 강화
  • 한계 : 사회 개혁에 관심 X, 백성 수탈 증가

4️. 하층민들의 봉기

  • 무신 정권 성립 이후 무신 간의 권력 다툼 -> 정치 혼란, 신분 질서 동요, 지방 통제력 약화, 백성 수탈 증가 ->농민과 천민의 봉기가 곳곳에서 발생
  • 농민 봉기 : 망이·망소이 형제(공주 명학소), 김사미와 효심(경상도)
  • 천민 봉기 : 개경 만적의 난(사노비), 전주 공노비 봉기
  • 이외에도, 고려 왕조 부정하는 신라, 고구려, 백제 부흥 운동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