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2
조선 후기 사회 구조 변화
1️. 양반 중심 질서의 동요
- 양천제 : 조선의 신분제는 본래 모든 백성을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
- 16세기 이후 실질적으로는 양반, 서얼 및 중인(지배층) & 상민, 천민(피지배층)으로 구분
- 조선 후기 들어 정치적, 경제적 급변 -> 양반 중심의 질서 동요
- 양반 : 붕당 정치 변질, 세도 정치 출현 이후 소수 양반층만이 관직 진출 -> 권력 다툼에서 밀려난 양반들은 양반 신분을 유지하는 데 급급하거나(향반) 경제적으로 몰락해 일반 농민들과 동등한 처지에 놓이게 됨(잔반)
2. 중인층의 노력
- 서얼과 중인도 신분 상승을 위해 집단 상소나 대규모 소청 운동을 벌임
- 서얼 : 과거제 응시 및 관직 진출에 제한 -> 정조 때 차별 완화, 중앙 주요 관직에 임명
- 중인 : 주로 기술직에 해당, 전문적 능력과 경제력 바탕으로 신분 상승 요구 -> 끝내 수용 X
- 상민 : 경제 활동을 통해 부를 축적, 공명첩 구입 및 납속 등을 통해 양반 신분 획득 / 호적, 족보를 위조하는 방법 등으로 양반 행세 -> 군포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목적
3️. 노비 제도 변화
- 양반으로 신분 상승한 상민 수 증가 -> 조세 및 군역 부담 대상자 감소 -> 국가 재정 악화
- 이에 정부가 나서 노비를 줄이고 상민을 늘리는 방법 시도 ex. 노비종모법(영조), 공노비 해방(순조)
- 결과적으로, 상민과 천민(노비) 수 감소, 양반 수 증가, 노비 제도 점진적으로 해체
4️. 향촌 사회 변화
- 신분제의 동요로 인해 양반 중심의 향촌 사회 질서 변화
- 새로 성장한 부농층이 경제력을 바탕으로 양반들과 향촌 지배권 다툼
- 부농층은 지방관과 결탁해 자신들의 영향력을 키웠지만 향촌 사회를 완벽히 장악하지는 못함. -> 결과적으로, 향리와 수령 등 지방관 권한 강화, 양반의 지배력 약화
- 이후 양반들은 세력과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동족 마을 형성 / 친족 집단(문중) 결속 / 사우, 서원 설립 / 족보 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