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사상의 등장

1️. 실학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사회적, 경제적 급변 -> 신분제 동요, 조세 제도 문란, 소수 지주들의 대토지 소유 증가 -> 사회 불안감 고조
  • 한편, 조선 후기 성리학은 과거 시험을 위한 도구로 변질돼 사회 변화에 대응하지 못함
  • 이에 지식인을 중심으로 현실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실학 등장
  • 실학 : 실증적 방법을 통해 연구한 학문을 바탕으로 그 결과를 실생활에 적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문
  • 실학자들은 우리나라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토대로 현실 문제를 바라보고 이를 개혁하기 위한 방안 제시

2. 농업 중심 개혁론(중농학파)

  •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 -> 농민 생활 및 농촌 문제에 주목
  • 토지 제도 개혁 및 자영농 육성 통한 농민 생활 안정화 주장
  • 유형원 : 신분에 따라 차등을 두되, 농민에게 일정한 면적의 토지 지급(균전론)
  • 이익: 농가마다 생계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토지를 정하고 이에 대한 매매 금지(한전론)
  • 정약용 : 마을 공동 토지 소유, 경작 통해 생산물 분배(여전제)

3️. 상공업 중심 개혁론(중상학파)

  • 유수원, 박지원, 홍대용, 박제가 등 -> 상품 화폐 경제의 발전에 주목
  • 상공업 진흥 및 기술 개발 통한 부국강병 주장 -> 북학파라고 불림
  • 유수원 : 직업의 평등 강조
  • 홍대용 : 기술 혁신 및 문벌제도 폐지 주장
  • 박지원 : 수레, 선박, 화폐 사용 장려
  • 박제가 : 청과의 교역 확대, 소비 장려
  • 영향 : 19세기 개화사상에 영향

4️. 국학

  • 조선 후기의 실학자를 비롯한 일부 지식인은 우리의 전통과 현실에 대한 관심
  • 국학 : 우리의 역사, 지리, 언어 등을  연구하는 학문
  • 안정복 : '동사강목' 저술 통해 고조선~고려 역사 자주적으로 정리
  • 유득공 : '발해고' 저술 통해 발해사를 고유 역사로 인식('남북국' 용어 사용)
  • 이중환 : '택리지' 편찬 통해 각 지역 지리적 환경, 인물, 풍속 등 소개
  • 정상기 : '동국지도' 편찬 통해 최초로 백리척 개념 활용
  • 김정호 : '대동여지도' 편찬 통해 국내 지형을 정밀하게 분석, 표현
  • 이외에도, 우리말의 음운을 연구한 '훈민정음운해'(신경준), '언문지'(유희) 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