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제정과 4·19 혁명

역사2

헌법 제정과 4·19 혁명

한국 사회 민주주의의 시련과 진전 1

1️. 제헌 국회와 그 활동

  • 1948년 5월 10일 총선거 통해 제헌 국회 구성
  • 대통령 중심제 기반한 민주공화정 채택, 이승만 초대 대통령 선출
  • 제헌 헌법 : 독립 정신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통성을 따른 헌법을 제정·공포 -> 대한민국이 민주 공화국이며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는 주권 재민을 규정
  • 친일파 청산 시도 :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 및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반민특위) 조직 -> 하지만,  소극적 태도와 친일파 방해로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음
  • 농지 개혁 추진 : 농지 개혁법 제정, 지주의 토지를 사들여 농민에게 되파는 농지 개혁 추진 -> 많은 농민이 자기 땅을 가질 수 있게 됨

2. 이승만 정권과 독재

  • 1950년 6.25 전쟁 직전 제2대 총선거 실시, 이승만에 반대하는 국회의원 대거 당선 -> 국회 간접 선거인 2대 대선에서 이승만의 재선 가능성이 낮아짐
  • 이에 이승만 정부는 전쟁 도중 경찰과 군대 동원, 대통령 직선제로 헌법을 고치며 (발췌 개헌, 1952) 재집권에 성공, 이후 반공 정책 통해 독재 체제 강화
  • 이후 자유당 중심으로 초대 대통령의 중임을 제한하지 않게끔 하는 개헌한 제출 -> 찬성표 부족을 통과 X, 그러나 사사오입 논리 앞세워 장기 집권 토대 마련(사사오입 개헌, 1954)
  • 장기 집권에 성공한 이승만이 정부 비판적 성향의 인사와 언론 탄압 ex. 진보당 소속 조봉암을 간첩죄로 기소, 사형(진보당 사건)
  • 이후 '국가 보안법' 개정 통해 야당 인사 및 언론 탄압

3️. 4·19 혁명

  • 1950년대 후반 들어 미국의 무상 원조 축소 -> 경제 위축, 이승만 정권 독재 체재 아래 부정부패 만연 -> 국민들의 불만 고조
  • 1960년 정·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의 부정 선거 적발(3·15 부정 선거)
  • 이에 마산 등지를 비롯한 각 지역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시위 주도, 시위 진압 과정에서 실종됐던 고등학생 김주열 시신 발견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시위 확대
  • 4월 19일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 -> 시위 무력 진압 과정에서 사상자 대량 발생 -> 이에 반발하며 4월 25일에는 대학교수단을 비롯해 각계각층의 시민들이 시위에 참여
  • 결국 이승만 하야 성명 발표, 대통령직 사임(4·19 혁명)
  • 4·19 혁명의 의의 :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첫 민주주의 혁명
  • 이후 허정 수반의 과도 정부 수립 -> 내각 책임제, 양원제 국회를 중심으로 하는 헌법 개정안 제출
  • 이어진 총선거에서 민주당 대승, 장면 정부 출범 -> 부정 선거 관련 처벌법 제정, 경제 개발 계획 마련 등 시도하나 큰 성과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