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산업 구조 변화
- 1960년대 이전 : 농업 중심의 1차 산업 종사자 비중이 높음
- 1960년대 이후 : 공업의 빠른 성장으로 제조업 중심 2차 산업 종사자 비중 증가
- 1990년대 이후 : 제조업 종사자 비중이 줄고, 서비스업이 중심이 된 3차 산업 종사자 비중이 증가(탈공업화)
- 오늘날 : 최근에는 정보·통신 서비스업, 교육·문화·디자인 산업 등 고부가 가치 지식 기반 서비스업이 산업 성장 주도
고도화된 서비스 산업
- 서비스업 : 다른 산업이나 개인 소비자에게 재화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수요자 유형에 따라 소비자 서비스업과 생산자 서비스업으로 구분
- 소비자 서비스업 : 주로 개인이 이용하며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이 대표적
- 생산자 서비스업 : 금융·보험업, 방송업, 사업 서비스업 등이 대표적임
- 초기에는 소비자 서비스업 비중이 높았음 -> 정부나 기업에서 효율성을 위해 관련 업무를 외부 업체에 맡기는 경향으로 생산자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
- 서비스 산업의 고도화 : 탈공업화 사회에 파급 효과가 큰 생산자 서비스업 비중이 증가하는 현상 (업종 및 규모의 다양화 +기능의 전문화)
서비스 산업의 공간 변화
- 소비자 서비스업의 입지 : 소비자의 이동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주거 지역 인근
- 생산자 서비스업의 입지 : 교통과 통신이 편리하고, 정보나 인력 획득에 유리하며 기업 본사가 집중된 도심이나 부도심
- 최근에는 도심에서 높은 임대료나 교통 혼잡 등의 집적 불이익이 발생함 -> 소비자 서비스업은 대도시 교외 지역, 생산자 서비스업은 교통 조건이 유리하고 환경이 쾌적한 주변 도시로 확대
- 우리나라의 경우 지식 기반 서비스업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음 -> 균형 잡힌 정보 통신 기발 시설 확충과 다양한 서비스 환경 마련이 요구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