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한국지리
북한의 인구
- 총인구는 증가세지만, 출생률 감소로 증가율은 낮아지고 있으며 점차 노년층 비율이 늘고 있음
- 평양, 남포, 개성, 신의주 등의 서부 평야 지역과 청진, 함흥, 원산 등의 동해안 일대에 주로 분포
- 특히, 서부 평야 지역은 넓은 규모와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와 풍부한 용수로 농업과 공업 발달 -> 인구 40% 이상이 집중
북한의 도시와 그 분포
- 인구 60% 이상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지만, 100만 명이 넘는 대도시의 발달은 미약
- 평양 : 인구 300만명이 넘는 북한 최대 도시로, 정치·경제·사회의 중심지
- 남포 : 평양의 외항 역할. 신의주는 철도 교통의 중심지로 중국과 교역 통로 역할
- 관북 내륙은 험준한 산지가 있음 -> 공업이 발달한 일부를 제외하면 인구 밀도가 낮고 도시 발달이 미약
북한의 자원
- 남한보다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 -> 300여 종의 광물 자원을 보유, 경제성이 있는 광물만도 220여 종 이상으로 알려짐
- 풍부한 지하자원 : 북한 경제 성장의 중요한 기반. 석탄이 에너지 소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남한보다 수력 발전의 비중이 높음
- 화력 발전소는 전력 소비가 많은 평양과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건설
북한의 교통 체계
- 서부 평야 지역과 동해안을 따라 주요 교통망이 발달
- 철도 수송 중심 : 전철화 비율이 높은 편이며, 국제 철도망 통해 중국/러시아/남한과 각각 연결
- 도로, 하천 및 해상 수송망은 주로 철도 수송을 보조하는 용도로 쓰임
북한의 산업 구조
- 사회주의 체제 수립 이후 1960~70년대 중공업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키고, 경공업과 농업을 함께 발전시키는 전략 추진
- 군수와 연계된 중공업에 과도한 투자 -> 1970년대 후반부터 산업 구조 불균형 심화. 경공업과 농업 생산성 약화
- 1·2차 산업 중심 : 농림 수산업과 광공업 비중이 높음 -> 여전히 서비스업 및 사회 간접 자본 비중이 낮아 생활필수품, 식량, 전력 등이 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