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신 신앙과 선민 사상의 등장 : 국가가 성장하면서 통치자와 지배 집단은 초월적인 존재인 천신과 자신들의 기원을 연결하여, 국가를 통합하고 권력을 얻고자 함
제천 행사 : 고구려-동맹(매년 10월 개최), 부여-영고(매년 12월 개최), 동예-무천(매년 10월 개최), 백제와 신라-하늘의 후손임을 강조 등 → 그러나 삼국 초기 연맹체를 구성한 각 국가의 ‘부’도 나름의 시조신을 모셨기 때문에 건국 신화로 국가를 통합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
2️. 불교의 수용과 중앙 집권 체제의 확립
중앙 집권 체제를 확립해 가는 과정에서 백성의 통합을 위한 새로운 종교의 필요성 대두
불교 : 고구려-소수림왕 시기 전진에서, 백제-침류왕 시기 동진에서 수용, 신라-법흥왕 시기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인
불교의 역할 : 왕권을 이념적으로 뒷받침, 지배층의 통치 합리화
불교의 성격 : 국가의 안녕과 발전을 염원하는 호국 불교의 성격
불교의 확산 : 천신 신앙, 산신 신앙 등 기존에 존재하였던 토착 신앙과 융합되면서 확산
고구려-평양에 9개 사찰 건립, 백제-미륵사 창건, 신라-황룡사, 분황사 등 창건
3️. 정치 이념으로서의 유학 수용
삼국 시대 중국과 교류하면서 유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 수용 → 삼국의 정치 문화 및 사상에 영향
고구려 소수림왕 : 중앙에 태학을 설립해 귀족 자제에게 유학 교육, 지방에는 경당을 설치해 평민 자제에게 유학과 활쏘기 등을 교육
백제 : 태학 설치, 오경박사를 두어 유교 경전 교육, 일본에 ‘논어’ 등의 유교 경전 전파
신라 : 세속5계(충과 효 강조), 임신서기석 등
역사서 편찬 : 왕의 권위를 높이고 국가의 권력을 과시하려는 의도
4. 도교의 전래
중국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도교는 산천 숭배 사상이나 신선 사상 등과 결합하여 삼국에 수용
고구려와 백제의 귀족을 중심으로 유행
고구려 : 연개소문은 귀족과 관련 있는 불교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기존 불교 사찰을 도교 사원으로 바꾸고 도교 장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