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려의 종교와 사상
1️. 불교에 대한 숭상
- 고려의 숭불 정책 : 국가 차원에서 팔관회와 연등회와 같은 불교 행사 개최, 승과 실시, 왕실 및 문벌 가문에서 승려를 배출하기도 함
- 고려 초 불교는 선종과 교종으로 구분되어 서로 대립
- 의천 : 천태종 개창 → 교관겸수를 주장하며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과의 통합 시도 → 의천 사후 다시 분열
- 지눌 : 수산사 결사 운동,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주장하며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에 대한 포용 시도
- 요세 : 천태종을 중심으로 하여 백련사 결사를 결성하였고, 참회에 대한 실천을 강조
- 혜심 : 지눌 계승, 유불 일치설 주장 → 유학과 불교의 통합 시도
2. 다양한 사상의 공존
- 유교 : 고려의 국가 정치 이념 → 태조(학교를 통해 유학 진흥), 광종(과거제 실시), 성종(유교 이념으로 통치 체제 정비, 국자감 정비 및 경학박사 파견) → 고려 후기에는 성리학 도입
- 도교 : 국가 차원에서 도교 사원을 건립, 도교 의례를 지내며 국가 안녕 및 번영 기원
- 풍수지리설 : 3경 설치, 서경 천도 운동 등의 근거
3️. 역사 인식의 변화
- <삼국사기> : 왕명을 받은 김부식 편찬,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기전체 서술
- <동명왕편> : 이규보 편찬, 고구려 계승 의식 강조
- <삼국유사> : 우리 민족의 시조로서 단군 강조, 다양한 설화 기록
- <제왕운기> : 우리 역시의 시초를 단군으로 인식
- 고려 후기 성리학의 영향을 받아 대의명분과 정통 의식 등을 내세운 역사서가 편찬되기도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