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 사회의 변화

1️. 향촌을 지배한 사족

  • 사족은 유향소에서 지방관 보좌, 향안(향촌 사족의 명부)을 만들고 향회 개최, 지방관과 향리 견제
  • 정부는 수도에 경재소를 설치해, 현직 중앙 관료에게 자신의 연고지 유향소를 통제하도록 함
  • 서원과 향약의 보급 : 지방 사족은 서원을 중심으로 권력 강화, 전통적 미풍양속을 유교식으로 고친 향약 주도

2️. 향촌 지배 질서의 재편

  • 양 난 이후 향촌 지배 질서 변화
  • 향촌의 권위 유지를 위한 노력 : 친족 간 결속 강화를 위해 동족마을 형성, 촌락 단위 동약 실시, 서원과 사우 추가 건립, 오가작통법 강화(다섯 집을 ‘통수’라는 관리자가 관리하도록 함)
  • 경제적으로 부유한 부농층이 지방관과 결탁하여 향안에 이름을 올리는 등 새로운 세력(신향)으로 등장 & 기존 양반(구향)과 대립 → 향회의 주도권을 가지고 대립하며 향전 발생 → 구향의 저항으로 신향의 완전한 권력 장악 불가능
  • 향회는 세금 부과 시 의견을 묻는 자문 기구 역할로 축소

3️. 부계 중심 가족 제도의 강화

  • 양 난 이후 성리학적 지배 질서의 강화로 부계 중심 가족 제도 강화
  • 재산 상속 및 제사 : 장자 중심 → 아들이 없을 시, 양자를 들여 가문의 대를 잇는 것이 일반화
  • 여성의 사회적 지위 하락 : 조선 전기에는 신부 집에 일정 기간 거주 → 조선 후기에는 신랑 집에 곧바로 가서 생활, 이혼한 여성의 재혼 가능성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