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1️. 수취 체제의 정비

  • 양 난 이후 정부의 수취 체제 개편 → 농촌 사회의 안정과 재정 수입 증대를 위한 노력
  • 전세 : 영정법(풍년과 흉년에 상관없이 토지 1결당 4~6두 고정) → 대동법(토산물로 내던 공물을 토지 면적에 따라 쌀, 옷감 등으로 납부)
  • 군포 : 균역법 (농민이 부담하는 군포 2~3필 → 전국 1필로 감소), 균역법 실시로 줄어든 재정 수입은 결작, 선무군관포로 보충

2️. 농민층의 분화

  • 양 난의  피해 극복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개간 사업을 적극적으로 장려
  • 농법의 개량 : 모내기법(이앙법) 실시, 견종법(이랑을 만든 뒤 생긴 고랑에 씨를 뿌리는 방법) 일반화 → 수확량 증가, 노동력 절감, 이모작 가능
  • 상품 작물 재배 확산 : 인삼, 면화, 담배 등
  • 일부 농민은 부농층으로 성장하였으나, 다른 일부 농민은 경작지를 잃고 임노동자로 전락

3️. 수공업과 광업의 변화

  • 조선 후기 관영 수공업 쇠퇴 & 민영 수공업 발달
  • 선대제 수공업(민영 수공업자가 상인에게 자본과 원료를 사전에 빌려 물건을 생산하는 방식) 증가
  • 민영 수공업 발달 → 주 원료인 광물 수요 증가 → 잠채(몰래 광산 개발) 성행

4️. 공인과 사상의 성장

  • 조선 후기 농업 생산력의 향상 & 수공업 생산 활발 → 상업 발달
  • 공인의 성장 : 대동법의 실시로, 국가에 물품을 조달하는 역할 담당하면서 자본 축적
  • 사상의 성장 : 사상이 정부 허가 없이 도성 안에서 상업 활동 전개 → 도성 내에서 상업을 독점했던 시전 상인이 정부로부터 금난 정권을 부여 받아 사상의 활동 억압 → 사상의 금난전권 폐지 주장 → 정부의 통공 정책 실시(육의전 제외 시전 상인의 금난 전권 폐지)
  • 금난 전권 폐지 이후, 사상의 활동 활성화 → 한성의 경강상인, 개성의 송상, 평양의 유상, 의주의 만상 등 등장
  • 사상은 전국을 무대로 활동하면서 공인과 더불어 독점적 도매상인 도고로 성장

5. 활발한 대외 무역

  • 17세기 이후 국경 지역의 무역 : 개시(공무역)과 후시(사무역)
  • 중국의 비단, 조선의 인삼, 일본의 은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교역 발생 → 동아시아의 은 유통 활성화
  • 후시 무역으로 만상(청과의 무역에 관여), 내상(일본과의 무역에 관여), 송상(만상과 내상 연결) 등이 부 축적

6. 화폐 유통의 확대

  • 상공업의 발달 → 금속 화폐의 수요 증가  → 상평통보 주조
  • 전황 현상의 발생 : 화폐 유통의 증가로 화폐를 유통을 위한 수단이 아닌, 재산 축적 수단으로 여기면서 동전 부족 현상 발생
  • 신용 화폐 사용 : 어음, 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