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ng)
한국사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 배경
- 3.1 운동을 계기로 독립 운동의 효율적, 조직적 운영의 필요성 대두
- 국내외 한성 정부,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 국민 의회 등 임시 정부 수립
- 이러한 정부를 통합하려는 움직임 시도
2. 결과
- 한성 정부의 법통 계승 &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대한 국민 의회 통합 결정
- 정부 명칭 : 대한민국 임시 정부
- 위치 : 상하이
- 1919년 9월 : 임시 의정원에 의한 대한민국 임시 헌법 공포
- 1919년 11월 : 이승만 대통령, 이동휘 국무총리 선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다양한 활동
1. 대한민국 임시 정부
- 한국 역사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
- 삼권 분립의 원칙 : 입법 기관인 임시 의정원, 사법 기관인 법원, 행정 기관인 국무원으로 구성
- 연통제과 교통국 : 국내 독립 운동 지도 & 활동 필요 자금 조달
- 임시 사료 편찬회 : 한국과 일본 관계 사료집 간행 -> 국제 연맹 제출 & 독립신문(기관지) 발행 -> 독립 운동 소식 전달
2. 연통제
- 국내 각 지역에 설치한 비밀 행정 조직 : 정부 문서 및 명령 전달, 독립 운동 자금 조달, 정보 보고 등의 역할 수행
3. 교통국
- 통신 기관 : 정보의 수집 및 분석, 연락 담당 & 국내 독립 공채 발행 & 의연금 모금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외교·군사 활동
1. 초기 활동 : 외교
- 외교 활동에 주력
- 프랑스 파리 강화 회의에 독립 청원서 제출 :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던 김규식을 외무 총장으로 임명하여 진행
- 미국 구미 위원회 설치 : 이승만 중심의 외교 활동 전개
- 결과 : 중국 정부의 승인 & 소련의 레닌으로 부터 독립 운동 자금 지원 약속
2. 군사활동
- 국무원 산하 국무부 설치 : 군사 업무의 관장
- 1920년 군무부 직할 광복군 사령부 광복군 총영 설치
- 1923년 육군 주만 참의부 편성 -> 군사 활동 전개
- 미국 한인 비행사 양성소 설치
변화를 모색한 임시 정부
- 일제의 지속적인 감시와 탄압 -> 연통제와 교통국 발각 -> 재정적 어려움 봉착
- 초기 외교 독립론 진행 -> 강대국의 무시 -> 성과 미약 -> 독립운동 방향성에 대한 대립 증가
1. 1923년 국민 대표 회의
- 독립활동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모임
- 개조파와 창조파의 대립에 의해 결렬
2. 국민 대표 회의 이후
- 이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침체기
- 이승만 대신해 박은식 대통령 추대 -> 1925년 국무령 중심 집단 지도 체제 전환
- 1925년 이후에도 자금난 문제는 해결되지 않음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김구를 중심으로 체제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