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국내에서 전개 된 무장 독립 투쟁
1. 3.1운동 이후
- 국내 다양한 독립군 부대 결성
- 최시흥 등의 천마산대 : 평안 북도 의주 천마산에서 활동 & 일제 식민 통치 기관 파괴, 친일파 숙청
- 보합단 : 동암산에서 조직 &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군자금 조달 & 친일파 처단, 일제 관료 사살
- 구월산대 : 황해도 일대 조직 & 은율 군수 처형 & 밀정 처단
봉오동 전투
1. 3.1운동 이후
- 만주와 연해주 중심 항일 무장 투쟁 전개 활성화
- 서간도 지역 : 신흥 무관학교 출신 중심 & 서로 군정서, 대한 독립단, 광한단 등 활동
- 북간도 지역 : 국민회군, 대한 독립군, 북로 군정서(대종교 중심) 활동
2. 독립군
- 국내 진입 작전 수행 : 일제와의 전투 & 식민 통치 기관 파괴 & 군자금 모금 & 친일 파 처단
- 대한 독립군 :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 독립군은 함경남도에서 활동하며 일제에게 큰 피해를 줌
3. 봉오동 전투
- 독립군의 활동을 억압하기 위해 일제는 독립군을 공격
- 일제의 공격에 대비한 연합군 편성 : 대한 독립군(홍범도)와 군무도독부군(최진동), 국민회군(안무)등의 연합 결성
-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 : 독립군 연합 부대의 매복 공격에 의해 일본군 기습 공격 -> 대승을 거둠
청산리 대첩
1. 봉오동 전투 패배 이후의 일본
- 만주 지역의 독립군 전체를 처단 하고자 시도
- 훈춘 사건을 명분으로 만주 지역에 대군을 파견
2. 이후 전개
- 북간도 지역의 북로 군정서, 대한 독립군, 국민 회군 등의 독립군 : 일제의 계획을 이미 인지 -> 이에 본래 근거지를 떠나 허릉현과 안투현 일대로 진군
- 일본군 : 근거지를 버리고 떠난 독립군을 추격
- 김좌진과 홍범도의 청산리 대첩 : 독립군을 쫒아온 일본군을 청산리로 유인하여 전투를 벌임 -> 대승을 거둠
- 청산리 대첩의 의의 : 독립군의 일제 공격 저지 & 한국인 스스로 독립에 대한 자신감 강화
3부를 편성한 만주 독립군
1. 일제의 청산리, 봉오동 전투에 대한 보복 계획
- 간도 참변 (1920) : 간도 지역의 한국인 학살 & 가옥과 학교 파괴
2. 독립 군단의 조직
- 간도 참변 이후 결성
- 소련과 만주의 국경 지대인 밀산부에 집결 -> 서일을 총재로 하는 대한 독립 군단 결성
- 자유시 참변 : 1921년 독립 군단은 일본군을 피해 러시아 자유시로 이동 -> 내부 주도권 다툼 & 러시아 적군의 무장 해제 요구 발포로 인한 큰 피해 발생
2. 3부의 조직
- 자유시 참변 이후 독립군 전열의 재정비 -> 3부 성립
- 육군 주만 참의부 : 압록강 연안 지역
- 정의부 : 남만주 일대
- 신민부 : 북만주 일대
- 3부의 성격 : 민정 조직과 군정 조직을 갖춤 & 공화주의 자치 정부의 성격
- 일제의 방해 : 미쓰야 협정 체결 -> 만주 지역 독립군 위협
3. 3부 통합 운동 전개
- 1920년 후반 민족 유일당 운동의 영향
- 결과 : 남만주 국민부 조직 & 북만주 혁신의회 조직
- 이후 변화 : 국민부 -> 조선 혁명당, 혁신의회 -> 한국 독립당
의열단의 결성
1. 의열단 결성의 배경
- 3.1 운동 이후 : 해외 활동 독립 운동가들은 독립을 위해서는 강한 무력 항쟁이 필요하다고 판단 -> 다양한 독립군 부대 조직
- 의열단의 결성 : 일제 요인과 친일파 처단, 식민 통치 기관의 파괴를 목적으로 결성
2. 의열단
- 1919년 11월, 만주에서 결성
- 김원봉, 윤세주 등 인물을 중심으로 결성
- 특징 : 일제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한 비밀 조직 & 베이징, 난징 등으로 본부 이전 & 무정부주의적인 특징 & 신채호의 '조선 혁명 선언'을 지침 삼아 활동
3. 1920년대 후반 이후
- 의열 활동에 대한 판단 : 1920년대 후반 들어 단순히 의열활동을 하는 것을 넘어서 정규군 활동의 필요성을 느낌
- 황푸 군관 학교 : 의열단원들이 입학하여 정규 군사 훈련을 받음
4. 1930년대
- 조선 혁명 간부 학교 설립 : 독립 운동 지도자 양성을 위해 중국 국민당 정부의 도움을 얻어 설립
- 민족 혁명당 설립 주도 : 중국 관내 독립 운동 단체를 포함
한인 애국단의 의열 활동
1.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어려움
- 일본에 의한 연통제, 교통국 발각 -> 와해
- 국민 대표 회의 결렬
- 이승만 대통령 탄핵 -> 이후 조직 개편 단행
- 만주 사변 이후 -> 독립군 사기 저하
- 만보산 사건 -> 한국인에 대한 중국인 감정 악화
2. 대한민국 임시 정부 해결을 위한 노력
3. 한인 애국단
- 이봉창 : 1932년 1월, 이봉창의 폭탄 일왕 마차에 대한 폭탄 투척 -> 실패로 끝남 -> 하지만 일제에 큰 충격을 안김
- 윤봉길 : 1932년 4월, 윤봉길은 일왕의 생일 및 상하이 점령 기념 축하식 자리에서 단상에 폭탄을 투척함 -> 수많은 일본군 장성과 고관 살상 -> 국내외 관심 유발 -> 중국인에게 큰 감명 제공 (중국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지원에 대한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