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근대 사상의 확산
1. 일제 강점기
- 복벽주의를 넘어 공화주의 확산
- 공화주의 : 새로운 형태의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이념
- 1917년 대동단결 선언 : 신채호, 신규식, 박은식에 의해 공화주의 이념 문서화
- 1919년 기미 독립 선언서에 반영 : 이후 독립 운동의 보편적 사상으로 변화
2. 제 2차 세계 대전 이후, 3.1 운동 전개 무렵
- 국가주의에 대한 반발 & 러시아 혁명의 영향 -> 정의, 인도, 자유, 평등 사조 유형
- 사회 개조 사상 & 사회주의 & 자유주의 밑바탕
- 페미니즘의 확산 : 여성의 권리와 지위 향상을 꾀하는 이념
청년 운동의 발생
1. 3.1 운동 이후
- 3.1 운동의 영향으로 민족의식 고취 -> 민족 운동의 과정에서 청년의 역할에 대한 재인식 기반 마련 -> 다양한 사상의 유입
- 청년 수양 및 계몽 & 민족 생활 개선 표방의 청년 단체 수 증가
2. 1924년 조선 청년 총동맹 결성
-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통합 -> 전국적 조직으로의 통합
- 노동 및 농민 운동 지지 & 일제 치하 식민 교육에 대한 집단 반대 활동 전개
소년 운동
- 1920년 : 진주 지역 천도교인들을 중심으로 진주 소년회 조직
- 1922년 : 서울에서 방정환 등에 의해 천도교 소년회 조직
- 1927년 : 전국적인 조직체인 조선 소년 연합회 결성
백정들의 형평 운동
1. 갑오 개혁 이후
- 여전히 지속되는 백정에 대한 차별 : 갑오 개혁 이후 법적 차별은 사라짐 & 하지만 사회적 차별은 지속
-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 호적에 백정 직업 기록 & 백정 자녀의 입학 거부 & 학교 입학 뒤 차별 문제
2. 조선 형평사 조직(1923)
- 경남 진주에서 조직
- 형평 운동 전개 :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폐를 주장
- 1925년 : 서울로 본부 이전 & 조직 규모 확대 -> 이후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문제 해결, 자녀에 대한 동등한 교육 실시, 모든 회원의 단결, 기타 사회 문제에 대해 논의 함
- 1927년 : 전국 분사 확대 & 전국적 규모 7천여명의 회원수 확보 & 다른 단체와의 협업을 통한 사회 문제 해결
- 조직의 약화 : 1920년대 말부터 내부 이념 갈등 발생 -> 일제의 탄압 이후 1930년대, 회원간 친목 도모와 경제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변화
여성 운동의 전개
1. 여성운동의 시작
- 목표 : 일제 강점기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 여성 해방
- 1920년대 초 조직된 단체 : 조선 여자 청년회, 조선 여자 교육회, 조선 여자 기독교 청년회 -> 사회 개조와 신문화 건설을 위해 여성의 계몽과 교육이 우선이라고 강조
- 문맹 퇴치, 생활 개선등의 활동 전개
2. 1927년 5월 근우회 결성
- 신간회 결성에 대한 자극으로 결성된 민족 협동 단체
- 목적 : 조선 여자의 공고한 단결과 지위 향상
- 활동 : 기관지 '근우' 발간, 순회 강연 게시, 노동 농민 운동과의 연대 방안 모색
우리말과 우리 역사 연구
1. 우리말 연구
- 1921년 조선어 연구회 창설 : 일제의 문화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 이윤재, 최현배 등의 한글 연구 시작
- 조선어 연구회의 활동 내용 : '가갸날'제정 & "한글"잡지 간행 & 한글 연구와 보급 활동
- 조선어 학회(1931) : 조선어 연구회는 1931년 조선어 학회로 이름 변경
- 조선어 학회의 활동 내용 :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의 제정 & 우리말 큰 사전 편찬 시도 -> 일제의 탄압에 의해 좌절(조선어 학회 사건)
2. 우리 역사 연구
- 일제의 식민 사관에 대한 대응으로 우리 역사 연구 활발히 전개
- 신채호, 박은식 : 민족사학의 기초를 세움 & 1930년대 정인보, 문일평 등의 학자에게 이어져 독립 운동의 사상적 기반이 됌
- 백남운 : 사회 경제 사학 연구 -> 한국사의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 체계화하고자 함
- 이병도, 손진태 : 진단학회 조직 -> 실증적 한국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