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전쟁 물자 충당을 위한 병참 기지화 정책
1. 병참 기지화 정책
- 한반도를 일제의 침략 전쟁에 필요한 군수 물자를 생산 및 공급하고자 하는 전략
- 배경 : 세계적인 대공황 이후 농업에서 공업 및 광업 분야로 수탈 대상을 확대 하려는 일제의 판단 -> 한반도의 값싼 노동력을 효율적으로 수탈하고자 한반도 병참기지화 전략을 취함
2. 1930년대 병참 기지화 정책
- 일본 독점 자본의 한국 중화학 공업 및 광업 부분 집중 유입
- 식민지 공업화의 빠른 진전
- 지하 자원이 상당한 한반도 북부를 중심으로 대규모 공장 건설
3. 중일 전쟁 이후
- 군수 산업 위주 산업 구조 재편 & 소비재 생산 위축
- 식민지 공업화의 영향 : 산업간 불균형 초래, 지역 불균형 초래
4. 남면 북양 정책 실시
- 남면 북양 정책 : 원료 공급지 조달을 위해 한반도 남쪽은 면화 재배, 한반도 북쪽은 양을 재배하도록 강요한 정책
- 한반도에서 나온 생산물을 1930년대초 대공황으로 인해 타격을 입은 일본 방직업자에게 공급
전쟁 동원 체제의 구축
1. 전시 동원 체제의 시작
- 중 일 전쟁 이후 -> 1938년 국가 총동원법 제정 -> 한국인 통제를 위해 국민정신 총동원 운동 전개
2. 전시 동원 체제의 강화
- 국민 징용령 제정
- 국민 징용령 개정을 통한 한국인 징용
- 국민 정신 총동원 운동을 국민 총력 운동으로 전환 : 조선 총독의 직접 통제 -> 이를 통한 생산력 확대, 공출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