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남북한의 정치와 경제

한국사

전후 남북한의 정치와 경제

이승만 정부, 발췌 개헌으로 연장한 정권

1. 6.25 전쟁 이전

  • 제 2대 국회의원 선거 진행 : 5.10 총선거에 불참하였던 중도파 민족주의자 & 정부에 비판적인 무소속 출마자 다수 당선
  • 국민 방위군 사건 & 거창 양민 학살 사건 폭로 -> 이승만 정부 여론 악화

2. 이승만 정부의 정권 유지를 위한 시도

  • 자유당 창당 : 국회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간선제로는 정권유지가 불가능하다고 판단 -> 이에 자유당을 창당하여 지지층을 늘리고자 함
  • 대통령 직선제 개헌 : 간선제로는 정권 유지가 어렵다는 판단에 의해 진행 -> 하지만 국회 부결에 의해 좌절
  • 계염령 선포 : 헌병을 동원 개헌 반대 국회의원의 버스를 강제 연행, 일부 국회의원을 간첩으로 간주하여 구속 -> 공포 분위기 조성 -> 이후 기립 표결로 직선제 개헌안을 통과 시킴(발췌 개헌)

영구 집권 모색한 이승만 정부

1. 발췌 개헌 직후

  • 반공을 국시로 내걸어 대통령 당선

2. 6.25 전쟁 이후

  • 사사오입 개헌 : 장기 집권을 위해 이승만과 자유당은 현임 대통령에 한해 연임 제한을 없애도록 하는 내용의 개헌안을 국회로 제출 -> 한 표 차이로 부결 되었으나 이틀 뒤 사사오입(반올림)의 논리를 명분으로 개헌안을 통과 시킴

3. 사사오입 개헌 직후

  • 1956년 대통령 및 부통령 선거 : 일부 지역에서 개포가 중단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 불안정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 -> 하지만 야당 후보가 갑자기 사망 하여 이승만 당선 확실시 되는 분위기 -> 그러나 무소속 조봉암 후보의 득표율이 예상외로 높았음 -> 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 장면이 자유당의 이기붕을 앞지르고 부통령에 당선

권위주의와 반공주의

1. 조봉암의 급부상

  • 제 3대 대통령 선거 : 평화 통일 구호를 앞세운 조봉암 후보의 득표율이 예상외로 높는 수치 기록 -> 이승만의 강력한 경쟁자로 대두 -> 이에 위기를 느낀 이승만 정권은 조봉암을 국가 보안법 위반 혐의를 씌워 사형 시킴

2. 이승만 정권의 권위주의

  • 조봉암 사건 이후 국가 보안법 개정, 정부 비판 언론 폐간등의 조치 단행
  • 국민반 조직 : 동 단위로 국민반 조직 -> 효율적인 주민 동원, 통제, 감시 -> 정부 정책 선전 -> 선거 국민반 조직 동원
  • 반공주의 강화 : 반공을 강조하는 서적 및 잡지 배부 & 국민 사상 통제 강화

원조를 통한 전후 복구 사업

1. 6.25 전쟁의 영향

  • 경제에 큰 악영향 : 산업 시설 파괴, 물자 생산 감소, 농경지 황폐화, 식량 생산 급감, 군사비 지출을 위한 정부 재정 지출 증가, 물가 폭등

2. 6.25 전쟁 후 이승만 정권의 경제 안정화 노력

  • 귀속 재산 미간 매각
  • 미국 원조 물자 분배 -> 민간 중심 자본주의 경제 발전 도움
  • 결과 : 1950년대 주요 산업 시설의 복구

3. 미국의 원조

  • 전후 복구에 미국의 원조가 큰 도움
  • 미국 원조의 목적 : 공산주의 확산 방지와 인도주의적 목적
  • 미국 원조의 내용 : 밀, 변화 등 농산물 원조 -> 한국의 식량난 해결 -> 삼백 산업 등의 소비재 산업 발달에 영향

4. 미국 원조의 단점

  • 미국 농산물의 대량 국내 진입 -> 국내 농산물 가격 하락 -> 국내 밀, 면화 등 생산 수준 감소 -> 농촌 인구의 대도시 유입
  • 1950년대 말 : 원조의 형식의 변화(무상 제공 -> 유상 차관) -> 한국 경제의 위기 초래
  • 정경 유착의 문제 : 미국이 제공한 원조 물자를 정부에서 민간으로 넘기는 과정에서의 특정 기업에게로의 혜택 집중 문제 -> 이로인해 삼백 산업을 중심으로 독점 대기업의 기업 구조 형성

1인 독재 체제 등장한 북한

1. 초기 북한 정권

  • 김일성 중심, 다양한 세력의 연합

2. 김일성의 권력 기반 강화

  • 6.25 전쟁 기간 중 : 반대 세력의 일부 숙청
  • 6.25 전쟁 이후 : 박헌영과 남로당 계열 숙청 -> 권력 기반 강화
3. 소련, 스탈린 사망 이후 북한의 변화
  • 스탈린 사후 소련내 스탈린 개인 숭배 사상 비판 여론 확산 -> 북한 내 김일성 비판 여론 확산
  • 하지만 김일성은 중국과 소련의 공산권 권력 다툼의 틈을 파고들어 1인 독재의 기반을 더욱 강화함

사회주의 경제 체제 확립하려 한 북한

1. 6.25 전쟁 이후 북한

  • 전 지역이 폐허 수준
  • 북한의 경제 : 소련과 중국 등의 공산국에게 상당히 의존하게 됨
  • 전후 복구 3개년 계획 추진(1954~1956) : 중국, 소련의 원조를 통해 조기 복구를 했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석탄, 시멘트, 곡물 생산 등 상당수의 계획이 본래 계획에 미치지 못함

2. 1957년 이후

  • 사회주의 경제 공업 기반 구축 & 국민 의식주 해결 목표
  • 제 1차 5개년 계획 착수 : 노동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천리마 운동 전개 -> 천리마 운동으로 5개년의 목표를 1년 앞당겨 진행했다고 선전
  • 천리마 운동의 한계 : 자본 투자와 기술 혁신 없이 진행되었고, 노력 동원과 속도 경쟁에만 치중 하였음  
  • 사회주의적 소유 형태 구축 : 6.25 전쟁 전에는 사유 재산을 상당히 인정 -> 6.25 전쟁 이후 전후 복구를 위해 농지를 협동 조합 소유로 전환하면서 사회주의 경제 체제로 급속히 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