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물가와 물가 지수
1. 물가
- 개념 : 시장에서 사고파는 상품들의 가격을 종합해 평균한 가격 수준
- 활용 지표 : 물가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물가 지수를 이용
- 예시 : 2020년 물가 수준을 100으로 하여 2021년 물가 지수가 105였다면, 1년 만에 물가 수준이 5% 상승한 것임
2. 소비자 물가 지수
- 개념 : 가계에서 일상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 구매하는 상품의 종합적인 가격 수준
- 가계의 생계비를 파악하는 데 활용
- 국민연금 인상률이나 노동자 임금 인상률을 결정하는 기준
3. 생산자 물가 지수
- 개념 : 생산자 간에 거래하는 상품의 가격 수준
- 재화와 서비스의 거래 현황을 알 수 있음
- 기업의 실질적인 생산 능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됨
4. GDP 디플레이터
- 개념 :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구한 값
-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상품의 가격 변동을 반영한 포괄적 물가 지수
- 명목 GDP : 당해 시장가격을 곱해서 구한 GDP
- 실질 GDP : 기준연도의 시작가격을 곱해서 구한 GDP
인플레이션의 의미와 발생 원인
1. 인플레이션
- 인플레이션의 개념 : 물가가 지속해서 상승하는 현상
2.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국민 경제 전체의 수요가 물가 상승을 일으키는 것 -> 주로 경기가 호황일 때
3.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원자재 가격, 임금 수준 상승 등이 물가 상승을 일으키는 것
- 경기 침체 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물가 상승과 실업 증가를 유발해 사람에게 고통을 줌
인플레이션의 영향
1. 의도하지 않는 방향으로 부와 소득을 재분배 함
- 고정된 임금을 받는 사람의 실질 소득이 줄어들게 됨
- 부동산, 금과 같은 실물 자산의 가치가 상승 함
-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채무 부담은 줄어들지만 돈을 빌려준 사람은 손해를 봄
-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해 기업은 장기 투자를 꺼리게 됨
- 실물 자산에 대한 투기가 늘어나 장기적 경제 성장 저해
- 경상 수지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음
2. 우리나라의 상품 가격이 상승해 수출이 줄어듦
3. 상대적으로 수입품의 가격은 낮아져 경상수지가 악화함
인플레이션의 대책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재정 지출을 줄이고 금리 인상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생산비 감소를 위해 임금 인상 억제, 기업의 세금 가면 등과 같은 정책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