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유교 : 공자 (사람에 대한 사랑을 뜻하는 '인'의 규범 제시, 대동 사회라는 도덕 사회 실현 추구), 맹자&순자 (공자의 사상을 토대로 인간 본성과 사회 질서 확립 방안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함)
성리학 : 이와 기를 중심으로 인간 본성, 자연 질서, 도덕 법칙, 사회 규범을 설명 (주희가 집대성)
양명학 : 명대에 들어서 왕수인이 심학(마음에 대한 윤리)의 체계를 확립
2. 공자
인(仁) : 남을 사랑하며 배려하는 도덕적인 마음, 인간됨의 본질인 사랑의 정신 → '인'이 실현된 두 가지의 실천 덕목 (부모 자식 간의 사랑인 '효', 형제 간의 우애인 '제'), '인'의 실천 방법 (마음의 충실함인 '충', 자신을 아끼는 마음으로 상대방을 대하는 것인 '서')
예(禮) : '인'을 올바로 실현하기 위한 사회적 규범과 제도, 극기복례 (사회 규범인 예를 따름으로써 이기적인 자기 자신 극복 가능) 강조
정명론 :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맞는 역할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이론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부모는 부모답고, 자식은 자식다워야 한다는 주장)
수기이안인(修己以安人) : 먼저 자기 자신을 닦고 백성을 편안하게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정치가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도덕적 수양이 필요함을 강조
예의 사회적 실천 강조
3. 맹자
성선설 : 인간의 마음에는 본래 사단이라는 보편적인 도덕 감정이 있음 → 따라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선함
불인인지심 : 다른 사람이 고통스러워하는 것을 그냥 보고 넘어갈 수 없는 선한 마음
사단 : 측은지심 (다른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 수오지심 (자신이 옳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부끄러워하고, 타인이 옳지 못한 행동을 했을 때 미워하는 마음), 사양지심 (양보하고 겸손한 마음), 시비지심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마음)
양지와 양능 : 양지는 선천적인 도덕 판단 능력, 양능은 선천적인 도덕 실천 능력
호연지기 : 호랑이의 기상과 같은 인간의 기상, 지극히 크고 올곧은 도덕적 기개
구체적인 수양의 방법 : 구방심 (잃어버린 선한 마음인 사단을 되찾는 것), 집의 (도덕적으로 옳은 행동을 꾸준히 하는 것으로, 집의를 통해 호연지기 기를 수 있음), 과욕 (욕심을 적게 가지는 것)
맹자의 이상적 인간 : 대장부 (호연지기를 갖춘 사람)
정치 방법 : 왕도 정치 (왕은 자신의 도덕성을 바탕으로 정치해야 한다는 주장, 왕이 힘으로써 정치하는 패도 정치에 반대), 역성혁명 (정명론에 근거해 왕이 자신의 역할을 다하지 못했으면 신하와 백성이 혁명을 통해 왕을 교체할 수 있다는 주장), 항산과 항심 강조 (도덕적인 마음인 항심은 경제적인 수단인 항산이 있을 때 실현 가능)
4. 순자
성악설 : 인간은 본래 개인적이고 이기적인 욕구를 가진 존재 → 따라서, 인간의 본성은 본래 악하지만 사회적 교화를 통해 선하게 될 수 있음
천인분이 : 인간과 하늘의 역할을 다르다, 인간은 하늘이 만들어낸 자연물을 이용하여 문명을 이룩하는 존재
화성기위 : 인간의 악한 본성은 '성인(이상적 경지에 이른 인간)'이 만든 사회적 규범인 예를 따름으로써 교화할 수 있다는 이론
정치 방법 : 예치 (왕은 자신의 도덕성인 예로써 백성들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 사람들이 지닌 도덕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나누고 능력에 따라 관직을 맡기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