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론

  • 의무론과 차이점 : 행위의 도덕성을 의무가 아닌, 결과에 중심을 둠
  • 덕 윤리와 차이점 : 덕 행위자의 품성(인격)에 중심을 두는 반면, 공리주의는 행위 자체에 초점을 둠

벤담의 공리주의

  • 벤담의 기본 전제 : 인간의 본성은 쾌락과 고통 두 가지를 느낀다는 것
  • 쾌락과 고통의 특징 : 쾌락과 고통은 행위의 동기이며 목적
  • 공리의 원칙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유용성)'
  • 양적 공리주의 : 쾌락에는 질적 차이는 존재하지 않고, 오직 양의 차이만 존재
  • 쾌락의 계산 방법 : 강도, 확실성, 지속성, 신속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의 7가지 기준 존재

밀의 공리주의

  • 질적 쾌락주의 : 쾌락은 양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다르고 측정 가능함
  • 질적 쾌락주의 옹호 논리 : 정상적인 인간은 누구나 질적으로 높은 쾌락을 알 수 있고, 높은 쾌락을 원함

현대의 선호 공리주의

  • 선호 공리주의 : 쾌락의 양을 극대화하는 것이 좋은 것이 아니라, 선호 충족이 가장 큰 쾌락이라고 주장함

공리주의의 현대적 의의

1. 고전적 공리주의의 한계

  • 한계 : 밀이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고 다른 측정 기준을 도입함으로써 쾌락 이외의 다른 기준으로 쾌락을 판명하게 됨 → 이는 쾌락만을 도덕 판정의 기준이라고 보는 쾌락주의 대전제에 위반됨

2. 현대의 공리주의

  • 싱어 : 이익 평등 고려의 원칙을 통해 동물을 도덕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