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소수자

한 사회의 가치와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들

사전적 정의

신체적 또는 문화적 특징 때문에 자신이 속한 사회의 주류 집단 구성원으로부터 구분되어 불평등한 처우를 받고 있는 개인 혹은 집단

쉬운 설명

POINT 1 📌

사회적 소수자란 성, 나이, 장애, 인종, 국적, 종교, 사상 등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측면에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국가나 사회의 지배적 가치와 기준을 달리한다는 이유로 차별의 대상이 되거나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사람들을 일컬어요.

이들은 신체적 또는 문화적 특징이 한 사회의 주류 집단과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기도 하고, 주류 집단에 비해 사회적 자원을 획득하는데 있어서도 불리한 위치에 처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 북한 이탈 주민, 외국인 노동자, 결혼 이민자, 여성 등이 사회적 소수자가 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POINT 2 📌

사회적 소수자는 시, 공간을 초월하는 절대적 개념이 아니라 시대나 장소, 상황의 변화와 같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는 상대적 개념이에요.

그래서 한 사회의 구성원이 외국으로 이민을 하게 되면, 이 사람은 새로 이민 간 나라의 사회적 소수자가 될 수도 있어요.

POINT 3 📌

그러나 사회적 소수자는 단순히 숫자의 적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에요.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백인은 숫자의 면에서는 적지만, 흑인이나 유색 인종을 지배했던 지배 집단이었기 때문에 이들이 사회적 소수자가 되지는 않았던 것이죠.

사회적 소수자를 차별하게 되면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여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들을 존중하며 공존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