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데믹스(Infodemics)는 '정보'(Information)와 '전염병'(Epidemics)이 합쳐진 말이다. 정확한 근거가 없는 정보가 인터넷이나 미디어를 통해 전염병처럼 빠르게 퍼지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에서 문제다. 국내에선 주로 개인에 대한 루머나 국가 안보와 관련된 허위 정보,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끼는 질병 괴담 같은 것들이 확산된 사례가 있었다. 이로 인해 사생활 침해, 사회적 혼란 등의 문제를 야기했다.
SNS의 발달과 연관이 깊다. 사람들이 타인 계정을 사칭하거나 익명으로 왜곡된 정보를 퍼뜨리는 현상이 늘었으나 일일이 규제가 어렵다. 정보 접근이 쉬워졌으나 정보를 비판적 의식 없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경향도 영향을 미쳤다.
2003년 미국 컨설팅업체 인텔리브리지 회장 데이비드 로스코프가 사회 현상을 꼬집으며 처음으로 쓰기 시작한 용어다. 이후 2007년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다보스포럼에서 다시 한번 언급되며 전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다보스포럼에선 사람들의 불안을 야기하고 종국에 사회 시스템을 무너뜨린다는 점에서 인포데믹스를 '21세기의 흑사병'이라고 칭했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대표적이다. 당시 정부가 관련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자 온갖 루머가 전국을 강타했다. 해외 유명 제약회사가 약을 팔기 위해 바이러스를 퍼뜨렸다는 주장이나 확진자가 있는 병원 명단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퍼져 많은 이들의 불안을 가중시켰다.
지난해 코로나19 발생 뒤에도 마찬가지로 각종 추측과 가짜 뉴스가 퍼져 눈덩이처럼 불어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