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현실과 교류하는 가상 세계

개념

현실과 상호작용하며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가상 세계다. '가상'을 뜻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가 합쳐져 만들어진 합성어다.

내용

단순히 화면으로 가상 현실을 보는 게 아니라 아바타를 활용해 가상 세계에 직접 참여한다. 이렇게 모인 개인들은 현실의 대리자로서 소통하고 놀이하고 돈을 벌고 쓰기도 한다. 공연 및 행사를 즐길 수도 있다.

배경

어원은 1992년 미국 SF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나온 가상 세계 이름이다. 과거 가상현실은 현실과 경계가 분명했지만, IT 기술의 발전으로 그 경계가 흐려지고 서로 주고받는 영향이 커지자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에서 등장했다.

기술적으로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위치기반 기술(GPS) 등과 대용량 정보를 실시간 전송 가능한 5G 통신망 발달에 힘입어 구현됐다. 여기에 코로나19로 대면 소통이 어려워지자 수요가 급증했다.

쟁점

핵심

가상 세계의 구현도가 높아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가능하고 현실과 상호작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가상현실(VR)보다 발전된 개념이다. 필요와 기술에 따라 메타버스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메타버스에 구축한 캐릭터의 개성은 서버를 운영하는 회사 것이 아니라 내 것이다. 이는 디지털자산화로 이어질 수 있다.

예시

  • 지난 3월 순천향대학교는 SK텔레콤의 '점프VR' 플랫폼을 통해 구현된 대운동장 및 메타버스 공간에서 신입생 입학식을 진행했다.
  • 미국 힙합 가수 트래비스 스콧은 게임 '포트 나이트' 내에서 콘서트를 열어 전 세계 1230만 팬과 함께 공연을 즐겼다. BTS 역시 지난해 9월 신곡 뮤직비디오 쇼케이스를 포트나이트에서 진행했다.
  • 6월23일 새에덴교회 및 ㈔한민족평화나눔재단이 주관하는 한국전 해외 참전용사 초청행사에서는 메타버스, 딥페이크 기술로 참전용사 10명의 젊은 시절 모습을 가상 공간에 재현한다.